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infochain 님의 블로그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infochain 님의 블로그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65)
  • 방명록

분류 전체보기 (65)
건강 <신체 오복> 소화력 소화기관 흔한 증상 권장 습관

젊었을 땐 돌도 씹어 소화시키던 때가 있었다고 하던 어르신들이 흰죽도 소화 못 시키겠다고 한탄하는 것을 보면 나이가 들어가면서 하나씩 고장나는 우리의 몸을 '닦고 조이고 기름치는 관리'를 스스로가 해줘야 오랫동안 무탈하게 움직이겠구나 하고 느껴집니다. 건강의 1번째, 일단 잘 먹은 후에 건강의 2번째 잘 소화시켜야 한다. 라는 것으로 몸으로 실감하며 조금 더 상세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소화기관과 소화력소화기관은 우리가 섭취한 음식물을 소화하고 흡수해 에너지와 영양소로 전환하는 생명 유지의 핵심 시스템입니다. 이 체계는 단순히 위나 장에만 국한되지 않고, 간, 췌장, 담낭 등 다양한 보조기관들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작동하며 소화기관의 이상은 단순한 위통이나 속 쓰림을 넘어, 만성피로, 면역력 저하, 두뇌 ..

카테고리 없음 2025. 4. 19. 11:10
건강 <신체 오복> 치아 구조 기능 관리 습관 중요성

언제부터 스스로 이를 닦기 시작한 건지 기억이 가물가물 하지만 거의 매일 하루 3번씩 꾸준히 닦았고, 중간중간 가글액으로 나름 상쾌하게 헹구기도 했는데 지금은 왜 이렇게 금, 은색이 씌워져 있는 건지 아쉽기만 합니다. 여태껏 살아오면서 아팠던 기억 중, 세 손가락 안에 드는 '사랑니' 와의 이별. 깊숙이 누워 있어 바로 발치가 불가하다고 사랑니를 깨서 조각으로 하나씩 빼내기를 거의 2시간가량 진행하니 턱은 얼얼, 마취제로 침 질질, 치통약을 먹어도 밤새 앓느냐고 고통스러웠던 생각이 떠오릅니다. 건강의 1번째는 일단 잘 먹어야 한다. 라는 옛 성현의 가르침에 따라 오랫동안 잘 먹기 위해 치아에 대해 조금 더 상세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치아의 중요성치아는 단순히 음식을 씹는 기능만 하는 기관이 아닙니..

카테고리 없음 2025. 4. 17. 17:27
건강 <음식> 발효유 케피어와 요거트 차이 효능

요거트 2개에 견과류를 넣어서 매일 저녁 식사를 대신하던 일상 중에 '케피어'라는 새로운 친구를 알게 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견과류의 단짝이라 생각하는 요거트를 대신할 수 있을까요?발효유란 무엇인가발효유는 우유에 유익한 미생물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건강식품입니다. 이 발효 과정에서 유당이 분해되고, 유산균이나 효모 등의 유익균이 증식하여 장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줍니다. 대표적인 발효유인 요거트와 케피어는 유사한 형태로 보이지만 제조 방식, 맛, 영양, 효능 등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닙니다. 특히 서양에서는 요거트가 오랫동안 사랑받아 왔고, 최근에는 케피어의 영양적 가치가 알려지며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하고 있습니다.발효유는 단순히 유제품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건강한 장내 미생물 환경 조..

카테고리 없음 2025. 4. 16. 18:03
건강 <치매> 정의와 예방 의심 사례 및 대비 방안

'다른 것은 몰라도 치매는 안되요' 부모님께서 건강하셨을 때는 농담반, 진담반으로 드렸던 말인데 막상 다른 종류의 큰 병환 상태에서는 의미가 없었습니다. 몸과 정신 중 어디 아픈 것이 더 힘들겠느냐의 경중을 따져 무엇할까요?용어 정의치매는 단순한 기억력 저하를 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인지 기능 저하가 나타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이는 단일 질환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의 집합체로, 대표적인 형태로는 알츠하이머병, 혈관성 치매, 루이소체 치매, 전두측두엽 치매 등이 있습니다. 치매는 주로 노년층에서 발병하지만, 조기 발병하는 경우도 있어 연령대에 관계없이 관심이 필요합니다. 기억력, 언어능력, 판단력, 시간·장소 인식 능력 등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며, 환자는 점차 자립적인 생..

카테고리 없음 2025. 4. 16. 14:47
건강 <노모포비아> 용어 정의 자가 테스트 사용 습관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하루 대부분을 스마트폰과 함께 보내고 있지는 않은가요? 알람을 듣고 잠에서 깨고 출퇴근 시간에 뉴스나 관심사를 검색하고 업무 진행의 주요 수단이 되어 버렸고 집에 와서 TV 보다는 손 안의 스마트폰이 간편하고 자기 전에 누워서 몇 가지 쇼츠를 둘러본 후 스르륵 잠이 들려면 말입니다. 어느 순간 스마트폰이 손에 없거나 꺼져 있으면 불안함을 느끼게 되는 경험, 이런 증상이 바로 '노모포비아(no-mobile phobia)'라고 합니다. 이 글에서는 노모포비아의 정의부터 자가진단, 그리고 우리가 스마트폰을 건강하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살펴보겠습니다. 용어 정의와 현상노모포비아(No-Mobile-Phobia)는 'no mobile phone phobia'의 줄임말로, ..

카테고리 없음 2025. 4. 11. 21:17
건강 <두려움> 중증 말기 환자 고통 준비하는 자세

이 글은 '만약'이라는 단서를 달고 있으며, 낮지 않은 확률로 현실이 될 수 있기에 몸과 마음의 준비를 위한 독백입니다. 지금까지 살아 오면서 ‘죽음’이라는 단어는 '나에게'가 아닌 '주변에'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영화와 드라마에서 보인 죽음은 주인공의 각성이나 복수의 계기였고, 어린 시절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돌아가실 때는 기억도 가물가물한 빛바랜 감정이 되었으며, 성인이 되어서 방문한 지인의 '상갓집(喪家-)'은 위로의 한마디와 조의금을 건네는 사회생활의 장소였습니다. 친인척과 가족의 장례를 치르면서 조금씩 상실감과 복합적인 감정이 쌓이다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나는 언제 떠나게 될까? 갑자기 사고로? 오랜 투병 끝에? 어느 날 중증 말기 환자라는 진단을 받는다면, 나는 어떤 감정을 가장 먼저..

카테고리 없음 2025. 4. 10. 18:15
이전 1 ··· 6 7 8 9 10 11 다음
이전 다음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